매일성경 | 시편 109편 16-31절 | 주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나를 선대하소서

2024. 12. 21. 22:40성서유니온 매일성경/시편

반응형

목차


    시편 109:16-31

    찬송가 86장 내가 늘 의지하는 예수


    기도, 대적을 이기는 방법

    시편 109편에서는 대적을 치고 승리하는 방법으로 기도가 나옵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길에는 항상 대적이 있습니다. 대적을 치고 승리하는 방법은 오직 기도하는 것뿐입니다(109:4). 그리고 그 기도에는 대적에 대해 하나님께서 심판하시기를 원하는 내용이 포함됩니다. 

    그가 저주하기를 좋아하더니

    16   그가 인자를 베풀 일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가난하고 궁핍한 자와 마음이 상한 자를 핍박하여 죽이려 하였기 때문이니이다
    17   그가 저주하기를 좋아하더니 그것이 자기에게 임하고 축복하기를 기뻐하지 아니하더니 복이 그를 멀리 떠났으며
    18   또 저주하기를 옷 입듯 하더니 저주가 물 같이 그의 몸 속으로 들어가며 기름 같이 그의 뼈 속으로 들어갔나이다
    19   저주가 그에게는 입는 옷 같고 항상 띠는 띠와 같게 하소서
    20   이는 나의 대적들이 곧 내 영혼을 대적하여 악담하는 자들이 여호와께 받는 보응이니이다

     

    다윗의 대적은 하나님과 반대로 행동합니다. 하나님은 인자와 긍휼이 풍성하십니다. 반면 대적은 인자 베풀 일을 생각하지 않고 가난한 자와 궁핍한 자와 마음이 상한 자를 핍박하여 죽이려 합니다(16절). 그 결과는 심판입니다. 다윗은 앞에서 대적이 심판을 받고 그 자자손손 완전히 망하게 해 달라고 기도했습니다(109:6-15). 이 기도를 사도 베드로는 가룟 유다에게 적용하며 인용합니다. 그 구절은 바로 "그의 직분을 타인이 취하게 하소서"입니다(행 1:20; 시 109:8). 여기에 다윗의 대적이 누구인가가 확실하게 드러납니다. 다윗의 대적은 사탄을 추종하는 세력입니다. 사탄의 자식들입니다. 즉 하나님 나라의 대적들입니다. 

     

    그들은 저주하기를 좋아합니다(17절). 그러므로 그것이 자기에게 임합니다. 축복하기를 기뻐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복이 그를 멀리 떠납니다. 저주하기 때문에 저주를 받고 그에게는 항상 저주가 입는 옷처럼, 띠는 띠처럼 따라다닙니다(18-19절). 이것이 메시아를 대적하는 자들, 다윗의 영혼을 대적하여 악담하는 자들이 여호와께 받는 보응입니다. 하나님 나라를 위하는 자들을 대하여 저주하고 악담하는 자들은 자기들이 한 저주를 자기들이 받을 것입니다. 즉, 하나님 나라의 대적들은 자기들의 저주, 자기들이 범한 악 때문에 망할 것입니다. 이것이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갚으시는 보응입니다. 

     

    16-20절에서는 저주가 계속 나옵니다. 다윗이 앞에서, 즉 5-15절까지 하나님께 드린 기도는 저주가 아닙니다. 이 기도는 하나님 나라의 대적을 향해서 하나님께서 갚으시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 기도는 하나님 나라를 증진시킵니다. 반면 저주의 목적은 어떤 대상을 망하게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택자와 대적자가 갈라집니다. 택자는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간구하지만 대적자는 어떤 대상을 망하게 하기 위해서 저주를 퍼붓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잘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주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21   그러나 주 여호와여 주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나를 선대하소서 주의 인자하심이 선하시오니 나를 건지소서
    22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 나의 중심이 상함이니이다
    23   나는 석양 그림자 같이 지나가고 또 메뚜기 같이 불려 가오며
    24   금식하므로 내 무릎이 흔들리고 내 육체는 수척하오며
    25   나는 또 그들의 비방거리라 그들이 나를 보면 머리를 흔드나이다
    26   여호와 나의 하나님이여 나를 도우시며 주의 인자하심을 따라 나를 구원하소서

     

    나를 건지소서

     

    다윗은 여호와께 자기를 선대하기를 구합니다. 그는 주의 인자하심에 의지합니다(21절). 주의 인자하심에서 "인자하심"은 주께서 베푸신 언약에 기반한 사랑입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진실하심, 자비로우심과 긍휼히 여기심이 이 사랑 안에 포함됩니다. 다윗은 그 사랑에 의지해서 자기를 건져달라고 구합니다(21절). 그런데 이러한 선대와 구원은 "주의 이름으로 말미암아" 주어지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친히 "여호와"로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으로 당신님의 이름을 계시하신 것은 우리를 구원하시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내비치신 것입니다. 믿는 자는 그 이름을 부르고 의지합니다. 기도는 그 이름을 알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도는 교제이며 동시에 특권입니다.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

    다윗은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보고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있습니다.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라는 고백은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잘 알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그 누구도 스스로 설 수 없습니다. 다 가난하고 궁핍합니다. 아무 것도 없는 처지입니다. 하나님께서 채우시지 않으면 아무 것도 없는 처지입니다. 하나님의 부재만큼 마음 상하는 것이 없습니다(22절 하). 

     

    하나님 없는 인생은 금방 지나갑니다. 빠르게 지나가고 없어집니다(23절). 마치 석양처럼, 바람에 불려가는 메뚜기처럼 그렇게 지나갑니다.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시지 않는 것 같기 때문에 금식하고 무릎이 흔들리고 육체가 수척합니다(24절). 대적의 비방을 받고 조롱을 당합니다(25절). 그럴 때에 바라보고 의지할 분은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여호와 나의 하나님 한 분이십니다(26절). 다윗은 여호와께 도와달라고 간구합니다. "주의 인자하심을 따라 나를 구원하소서"라고 기도합니다(26절). 

    그가 궁핍한 자의 오른쪽에 서서

    27   이것이 주의 손이 하신 일인 줄을 그들이 알게 하소서 주 여호와께서 이를 행하셨나이다
    28   그들은 내게 저주하여도 주는 내게 복을 주소서 그들은 일어날 때에 수치를 당할지라도 주의 종은 즐거워하리이다
    29   나의 대적들이 욕을  입듯 하게 하시며 자기 수치를 겉옷 같이 입게 하소서
    30   내가 입으로 여호와께 크게 감사하며 많은 사람 중에서 찬송하리니
    31   그가 궁핍한 자의 오른쪽에 서사 그의 영혼을 심판하려 하는 자들에게서 구원하실 것임이로다

     

    다윗은 이것이 주의 손이 하신 일인 줄 알게 해 달라고 간구합니다. 여기서 이것은 22-26절에 나오는 대로 자기가 낮아진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낮아지심을 가리킵니다. 하나님께서 독생자를 그렇게 낮추심은 가난하고 궁핍한 자, 오직 하나님만 의뢰하는 자를 구원하시기 위함입니다. 

     

    다윗은 자기에게 저주하는 자들의 저주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을 구합니다. "그들은 내게 저주하여도 주는 내게 복을 주소서"라고 구하는 것입니다(28절). 대적자들은 일어날 때에 수치를 당하지만 주의 종은 즐거워할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 종은 하나님의 일을 수종드는 사람들입니다. 하나님께서 임무를 주셔서 주의 일을 시키신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그 일을 수행하면서 대적자의 대적을 받고 어려움과 곤란을 당하지만 결국 즐거워할 것입니다. 

     

    대적들은 욕을 옷 입듯 할 것이고 자기 수치를 겉옷 같이 입을 것입니다(29절). 이렇게 될 때 다윗은 여호와께 감사하고 많은 사람 중에서 찬송한다고 합니다(30절). 다윗의 찬송은 구원하심에 대한 찬송입니다. 구원하시는 하나님께서는 궁핍한 자의 오른쪽에 서시는 분이십니다. 그 영혼을 심판하려 하는 자들에게서 구원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 인생 가운데에서도 이런 일들이 일어납니다. 우리는 사탄의 참소와 대적을 당하지만 그러한 참소와 대적과 저주가 우리에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우리 주 예수께서 그 모든 것에서 우리르 보호하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난하고 궁핍하다는 것을 압니다. 그래서 오직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만을 믿고 의지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렇게 궁핍한 우리의 오른쪽에 서셔서 우리의 영혼을 심판하려 하는 자들에게서 구원하실 것입니다(31절).

     

    글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