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9. 30. 22:23ㆍ성서유니온 매일성경/열왕기하
목차
열왕기하 15:23-38
찬송가 582장 어둔 밤 마음에 잠겨
회개하지 않은 예후의 자손들
여로보암의 아들 스가랴는 여섯 달 동안 왕이 되었다가 반역을 당해서 죽었습니다(15:8, 10). 그는 그의 고조 할아버지인 예후에게 하신 말씀에 주의를 기울여야 했습니다(10:30; 15:12). 그 말씀을 듣고 마음에 간직하여 깨달았다면 스가랴는 하나님께로 돌이켰을 것입니다.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났을 것입니다(15:9). 그렇게 하기 6개월은 충분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스가랴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했습니다. 전혀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예후에게 말씀하신 일, 즉 "네 자손이 사 대 동안 이스라엘 왕위에 있으리라"라고 하신 말씀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말씀은 예후의 자손들에게 회개의 기회를 주는 말씀이었지만 아무도 회개하는 이가 없었습니다. 그 이후에 이스라엘은 혼돈 속으로 들어갑니다.
이스라엘 왕 브가히야
23 유다의 왕 아사랴 제오십년에 므나헴의 아들 브가히야가 사마리아에서 이스라엘 왕이 되어 이 년간 다스리며
24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한지라
25 그 장관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반역하여 사마리아 왕궁 호위소에서 왕과 아르곱과 아리에를 죽이되 길르앗 사람 오십 명과 더불어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었더라
26 브가히야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브가히야의 아버지 므나헴은 스가랴를 반역해서 죽인 살룸을 쳐 죽이고 왕이 된 사람입니다(15:14). 그는 딥사와 그 가운데 있는 모든 사람과 그 사방을 쳤습니다. 거기에 있는 사람들을 잔인하게 죽였습니다(15:16). 백성을 보호해야 하는 왕이 권력욕에 눈이 멀어 백성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습니다. 므나헴의 이런 죄는 그의 아들 대에 보응이 되었습니다. 그의 아들 브가히야가 베가에게 반역을 당하여 죽임을 당한 것입니다(25절). 브가히야도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24절).
왕권을 공고히 하기 위해서 만든 우상이 오히려 왕권을 점점 약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왕직은 하나님께서 세우시는 직임입니다. 그런 직임은 오직 하나님만 의뢰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 공고해 집니다. 왕직의 의미가 하나님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 나라의 왕은 왕직 자체에 주목하면 안 됩니다. 그 직분을 주신 하나님께 주목해야 합니다.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이스라엘 왕 베가
27 유다의 왕 아사랴 제오십이년에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이십 년간 다스리며
28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29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욘과 아벨벳 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점령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
30 웃시야의 아들 요담 제이십년에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서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31 베가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르말랴의 아들 베가는 22년간 다스렸습니다(27절). 그도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 왕직의 의미를 몰랐던 것입니다. 그 때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스라엘의 여러 땅을 점령하고 백성들을 사로잡아서 앗수르로 옮겨갔습니다(29절). 이스라엘은 심히 약해졌습니다. 베가는 브가히야에게 반역을 범하여 왕이 된 사람입니다(25절). 그런 베가에게 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합니다(30절). 이스라엘에서는 왕이 되면 반역을 당해서 죽는 일이 계속 일어났습니다. 이에 대해서 박윤선 목사님은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박윤선, 사무엘서 열왕기 역대기 주석, 622쪽).
브가히야를 죽이고 왕이 된 "베가" 역시 여로보암의 우상주의에서 떠나지 않았다. 이렇게 북쪽 이스라엘의 역사는 시종일관 우상을 섬겨 하나님의 노(怒)를 쌓았고, 이 나라에는 연속적으로 반역 행위가 연출되었다. 그 반역자들 중에는 의로운 자가 한 사람도 없었다. 그들 중에 누구든지 그 우상주의를 회개하였더라면 그에게 대한 하나님의 보수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지 못하였으니만큼 그들 자신이 그 죄값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유다 왕 요담(대하 27:1-9)
32 이스라엘의 왕 르말랴의 아들 베가 제이년에 유다 왕 웃시야의 아들 요담이 왕이 되니
33 나이가 이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십육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여루사라 사독의 딸이더라
34 요담이 그의 아버지 웃시야의 모든 행위대로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였으나
35 오직 산당을 제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그 산당에서 제사를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요담이 여호와의 성전의 윗문을 건축하니라
36 요담의 남은 사적과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유다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37 그 때에 여호와께서 비로소 아람 왕 르신과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보내어 유다를 치게 하셨더라
38 요담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그의 조상 다윗 성에 조상들과 함께 장사되고 그 아들 아하스가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이스라엘은 극도의 혼란에 빠졌지만 유다는 다윗 자손으로 왕위가 계속 계승되었습니다(32절). 요담(יוֹתָם)은 "여호와는 완전하시다(the LORD is perfect)"란 뜻입니다.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여루사(יְרוּשָׁא)였습니다. 여루사는 "소유를 취하다, 기업을 상속받다(taken possession of)"라는 뜻입니다. 그는 사독의 딸이었습니다(33절). 박윤선 목사님은 이 사독이 대제사장 사독이었을 것이라고 주석합니다(참조. 대상 6:12).
요담은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지만 산당을 제거하지는 않았습니다(34-35절). 그는 여호와의 성전 윗문을 건축했습니다(35절 하). 윗문은 성전의 북쪽 문을 가리킵니다.
유다를 징벌하심
그 때에 여호와께서 유다를 치기 시작하셨습니다(37절). 우리말 성경에는 "비로소"라는 말이 나옵니다. 원어를 보면 여호와께서 "보내시기 시작하셨다"라고 나옵니다. 즉 요담이 죽는 그 시점과 맞물려서 아람 왕 르신과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보내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람 왕과 이스라엘 왕을 보내셔서 유다를 치게 하신 것은 아하스가 범죄하였기 때문입니다. 아하스의 범죄는 다음 장에 나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아하스의 범죄로 유다를 치시면서 동시에 구원을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의 구원약속
이사야 7장에 보면 유다를 치기 위해서 아람이 에브라임, 즉 북이스라엘과 동맹했다는 소식이 유다에 들려옵니다(사 7:2). 원래 아람과 북이스라엘은 원수지간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유다를 치기 위해서 동맹을 맺은 것입니다. 이 일은 하나님께서 유다를 징벌하시기 위해서 이루신 일입니다. 그 때 하나님께서는 아하스에게 유명한 말씀으로 징조를 주셨습니다. 그 말씀은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라는 말씀입니다(사 7:14).
하나님의 공의와 긍휼
범죄한 우리는 징계를 받아 마땅합니다. 우리는 죄 많은 이 세상에서 죄로 인해서 고통을 당하면서 삽니다. 하지만 동시에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을 맛보면서 합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하나님의 공의를 경험하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을 경험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이렇게 이끄시면서 하나님 마음에 합당한 그릇으로 빚어가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일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글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성서유니온 매일성경 > 열왕기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 열왕기하 17장 1-23절 | 북이스라엘의 멸망과 교회의 타락 (21) | 2024.10.02 |
---|---|
매일성경 | 열왕기하 16장 1-20절 | 잘못된 지도자가 세워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12) | 2024.10.01 |
매일성경 | 열왕기하 15장 1-22절 | 유다 왕 아사랴와 이스라엘 왕 스가랴, 살룸, 므나헴 (5) | 2024.09.29 |
매일성경 | 열왕기하 14장 17-29절 | 사람의 열심이 종 됨보다 앞서면 안 됨 (4) | 2024.09.28 |
매일성경 | 열왕기하 14장 1-16절 | 처음보다 끝이 좋기를 기도해야 함 (13) | 2024.09.27 |